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남 드래곤즈/2021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남 드래곤즈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전남 드래곤즈/2021년/K리그2
,
,
,
,
,
,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전남 드래곤즈 역대 시즌
2020년2021년2022년

파일:155353130_3695678553801651_6955379340901636142_o.jpg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전남 드래곤즈 2021시즌
대표이사이광수
감독전경준
수석코치최철우
주장이종호
부주장박찬용, 이후권, 김현욱
경과
(시즌 종료)
파일:K리그2 로고.svg4위, 준플레이오프 탈락
(37전 13승 14무 10패 38득점 33실점)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우승
(7전 4승 2무 1패 21득점 8실점)
합산 성적[1]44전 17승 16무 11패 59득점 41실점
최다 득점[2]발로텔리(12골)
최다 도움[3]김현욱, 발로텔리(4도움)

Our Dream Our Dragons

1. 시즌 전 전망
2. 보드진 / 코칭 스태프
3. 선수단
3.1. 군 복무 / 임대 선수
4. 유니폼 및 스폰서
5. 이적 시장
5.1. 겨울 이적 시장
5.1.1. 영입
5.1.2. 방출
5.2. 여름 이적 시장
5.2.1. 영입
5.2.2. 방출
6. 시즌개막전
6.1. 동계 전지훈련
6.2. 연습 경기
7. 시즌
7.1.1. 정규 리그
7.1.2. K리그2 준플레이오프 vs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 0:0 무)
7.2.1. 2라운드 VS 대구 청솔 FC (홈, 11:0 승)
7.2.2. 3라운드 VS 수원 FC (원정, 1:1 무(승부차기 4:5 승))
7.2.3. 16강 VS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원정, 2:2 무(승부차기 3:5 승))
7.2.4. 8강 VS 포항 스틸러스 (홈, 1:0 승)
7.2.5. 4강 VS 울산 현대 (원정, 1:2 승)
7.2.6. 결승
7.2.6.1. 1차전 vs 대구 FC (홈, 0:1 패)
7.2.6.2. 2차전 vs 대구 FC (원정, 3:4 승)
8. 시즌 평가



1. 시즌 전 전망[편집]


리그 6위라는 중위권 성적으로 20시즌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한다. 올렉을 제외한 모든 외국인 선수를 처분했고, 스웨덴 1부/2부리그에서 뛴 사무엘 은나마니와 함께 김해시청 축구단 소속으로 K3리그 20시즌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린 고대앙리 박희성, 수원 FC의 승격멤버 장성재 등 여러 쏠쏠한 선수들을 수집해왔다. 리그 중상위권 이상의 성적을 올리길 기대해볼만한 시즌이다.


2. 보드진 / 코칭 스태프[편집]


전남 드래곤즈 2021 시즌 코칭스태프 명단
직책한글 성명로마자 성명국적생년월일
감독전경준Jeon, Kyung J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9월 10일
수석코치최철우Choi, Chul Wo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7년 11월 30일
코치한동훈Han, Dong H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4월 8일
코치강진규Kang, Jin Kyu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9월 10일
플레잉코치최효진Choi, Hyo-J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8월 18일
GK코치한동진Han, Dong J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8월 25일
피지컬심정현Sim, Jeong Hy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의무팀장공윤덕Kong, Yoon De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의무함성원Ham, Seong Won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의무고영재Ko, Young Jae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1년 7월 5일
의무이길우Lee, Gil Wo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10월 16일
의무오창용Oh, Chang Yo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7년 6월 13일
비디오분석관백송화Baek, Song Hwa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4월 29일
장비사박상옥Park, Sang 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선수단[편집]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박준혁Park Jun-hyuk1987년 4월 11일183cm, 84kg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효진Choi Hyo-jin1983년 8월 18일172cm, 71kg플레잉코치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찬용Park Chang-yong1996년 1월 27일186cm, 81kg부주장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고태원Ko Tae-won1993년 5월 10일187cm, 80kg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황기욱Hwang Ki-wook1996년 6월 10일184cm, 74kg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임찬울Im Chan-Wool1994년 7월 14일176cm, 71kg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종호Lee Jong-ho1992년 2월 24일180cm, 77kg주장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병오Kim Byung-oh1989년 6월 26일183cm, 86kg
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현욱Kim Hyun-Wook1995년 6월 22일160cm, 61kg부주장
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희성Park Hee-Seong1990년 4월 7일188cm, 80kg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장성록Chang Sung-rok2001년 11월 13일187cm, 87kg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선우Kim Sean-Woo1993년 4월 19일174cm, 72kg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정호진Jeong Ho-jin1999년 8월 6일180cm, 73kg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후권Lee Hoo-gwon1990년 10월 30일180cm, 75kg부주장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태현Kim Tae-hyeon1996년 12월 19일175cm, 71kg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장성재Jang Seong-Jae1995년 9월 12일178cm, 69kg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남윤재Nam Yun-jae2001년 4월 14일186cm, 73kg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장순혁Jang Soon-Hyuk1993년 4월 16일188cm, 80kg
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오찬식Oh Chan-Sik1997년 1월 24일190cm, 88kg
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서명원Seo Myeong-Won1995년 4월 19일180cm, 77kg
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병엽Kim Byung-yeop1999년 4월 21일189cm, 83kg
25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석현Lee Seok-hyun1989년 12월 8일177cm, 82kg
2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영욱Kim Yeong-uk2000년 3월 2일175cm, 63kg
3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다솔Kim Da-Sol1989년 1월 4일188cm, 80kg
3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최성진Choi Seong-Jin2002년 6월 24일191cm, 85kg
33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DF올렉Oleg Zoteev1989년 7월 5일175cm, 67kg
36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임민혁Lim Min-hyeok1994년 3월 5일186cm, 80kg
39파일:브라질 국기.svgFW알렉스Alex Martins Ferreira1993년 7월 8일187cm, 78kg
5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호정Choi Ho-jeong1989년 12월 8일182cm, 79kg
66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FW사무엘Samuel Nnamani1995년 6월 3일183cm, 89kg
89파일:브라질 국기.svgFW발로텔리Jonathan Balotelli1989년 4월 2일185cm, 77kg
구단 정보
대표이사: 조청명 / 감독: 전경준 / 홈 구장: 광양축구전용구장
출처: 전남 드래곤즈 홈페이지


3.1. 군 복무 / 임대 선수[편집]


전남 드래곤즈 임대명단[주의]
임대 구단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김천 상무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정재희Jeong Jae-hee1994년 4월 28일174cm, 70kg2021년 11월 27일 전역
김천 상무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경민Kim Gyeong-Min1997년 1월 22일185cm, 78kg2022년 12월 18일 전역
김천 상무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한길Kim Han-GIl1995년 6월 21일177cm, 69kg2022년 12월 18일 전역
천안시 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오현교Oh Hyeon-Gyo1999년 7월 24일180cm, 69kg2021년 12월 31일 만료
강릉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신지훈Shin Ji-hoon1998년 4월 13일191cm, 88kg2021년 12월 31일 만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임민혁Lim Min-hyeok1994년 3월 5일186cm, 79kg2021년 9월 28일 소집해제


4. 유니폼 및 스폰서[편집]


2021 시즌 유니폼
파일:13fcf6bf22441da08f1466b9e6b4d5ae.jpg
파일:012db44c1096ad46cdea484cb0eada6d.jpg
파일:4775775b1789bd75b57dbb58e5574cac.jpg
파일:ee3377585af4eed447ac6342dfb5607e.jpg
파일:d12e86d857dfea4631f8975c2be4cebc.jpg
어웨이서드GK 홈GK 어웨이
2021 시즌 스폰서
메인 스폰서 전면 스폰서 후면 스폰서 용품 스폰서
파일:포스코 CI.svg파일:SNNC CI.svg파일:전라남도 슬로건.svg파일:logossomega.png파일:푸마 로고.svg


5. 이적 시장[편집]



5.1. 겨울 이적 시장[편집]



5.1.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박희성FW김해시청 축구단완전이적
김태현DF안산 그리너스완전이적
장성재MF수원 FC완전이적
김다솔GK수원 삼성 블루윙즈완전이적
서명원MF부천 FC 1995완전이적
사무엘FWAFC 에스킬스투나완전이적
김영욱DF제주 유나이티드 FC완전이적
알렉스FW상하이 선신완전이적
발로텔리FWEN 파랄림니완전이적
최성진FW광양제철고등학교우선지명
김선우MF상주 상무군전역
신성재MF목포시청 축구단임대복귀
김경민FWFC 안양임대복귀


5.1.2. 방출[편집]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적 구단방식
조윤형FW부천 FC 1995이적
추정호MF부천 FC 1995이적
이유현DF전북 현대 모터스이적
박대한DFFC 안양자유계약
최익진MF대전 하나 시티즌자유계약
김민혁DF강릉시민축구단자유계약
곽광선DF광주 FC자유계약
김보용FWFC 투론자유계약
김효찬MF무소속자유계약
신성재MFFC 목포자유계약
안재홍MF영남대자유계약
임창균MF무소속자유계약
쥴리안FWUS 살레르니타나 1919자유계약
최준기DF무소속자유계약
오현교DF천안시 축구단임대
신지훈GK강릉시민축구단임대
하승운FW포항 스틸러스임대복귀
최정훈FW수원 삼성 블루윙즈임대복귀
에르난데스FW그레미우임대복귀
호도우프FW미라소우 FC임대복귀
이지남DF-은퇴
김주원DF제주 유나이티드자유계약


5.2. 여름 이적 시장[편집]



5.2.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최호정DFFC 안양완전이적
이석현MF포항 스틸러스완전이적
김병오FW부산 아이파크완전이적
임민혁GK무소속소집해제


5.2.2. 방출[편집]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적 구단방식
김한길FW김천 상무군입대
김경민FW김천 상무군입대
김진성DF마두라 유나이티드 FCFA


6. 시즌개막전[편집]



6.1. 동계 전지훈련[편집]


전남 드래곤즈 2021 동계 전지훈련
차수지역개시일종료일
1차파일:남해군 CI.svg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스포츠파크2021년 2월 1일2021년 2월 16일


6.2. 연습 경기[편집]




7. 시즌[편집]



7.1. K리그2[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전남 드래곤즈/2021년/K리그2 문서
전남 드래곤즈/2021년/K리그2번 문단을
전남 드래곤즈/2021년/K리그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 정규 리그[편집]


파일:K리그2 로고.svg2021 하나원큐 K리그2
정규리그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12021-02-27충남 아산 FC 0 - 0-
22021-03-07경남 FC 1 - 0올렉(10')
32021-03-14원정서울 이랜드 1 - 1고태원(4')
42021-03-20원정부천 FC 1995 1 - 1이종호(39')
52021-04-04대전 하나 시티즌 1 - 2이종호(67')
62021-04-11원정안산 그리너스 0 - 1알렉스(90+5')
72021-04-18김천 상무 2 - 1김현욱(65', 83')
82021-04-24원정부산 아이파크 0 - 1발로텔리(88')
92021-05-01FC 안양 0 - 1-
102021-05-05원정대전 하나 시티즌 1 - 1장순혁(73')
112021-05-09원정경남 FC 0 - 2장순혁(50'), 발로텔리(90+1', PK)
122021-05-17안산 그리너스 2 - 0이종호(21'), 발로텔리(84')
132021-05-23부산 아이파크 1 - 2발로텔리(17')
142021-05-30원정김천 상무 1 - 1사무엘(87')
152021-06-05서울 이랜드 3 - 0발로텔리(3', 55', 85')
162021-06-13부천 FC 1995 0 - 2-
172021-06-20원정충남 아산 FC 0 - 1김영욱(16')
182021-06-28원정FC 안양 0 - 0-
192021-07-05경남 FC 0 - 0-
202021-07-11원정부산 아이파크 0 - 1이종호(80')
212021-07-17충남 아산 FC 0 - 3-
222021-07-25원정부천 FC 1995 1 - 2김현욱(44'), 발로텔리(55')
232021-08-01원정안산 그리너스 1 - 1사무엘(74')
242021-08-08대전 하나 시티즌 0 - 0-
252021-08-14FC 안양 1 - 2이종호(66', PK)
262021-08-22원정서울 이랜드 1 - 1알렉스(79')
272021-08-29김천 상무 2 - 2박찬용(60', OG), 조규성(90+4')
282021-09-05원정경남 FC 0 - 2최호정(72'), 발로텔리(75')
292021-09-13원정대전 하나 시티즌 2 - 1이석현(28')
302021-09-18부천 FC 1995 1 - 2사무엘(14')
312021-09-26원정충남 아산 FC 0 - 0-
322021-10-02원정FC 안양 1 - 1이종호(90+5')
332021-10-09서울 이랜드 1 - 0이종호(90+1', PK)
342021-10-17부산 아이파크 2 - 0발로텔리(9'), 이종호(79')
352021-10-23원정김천 상무 3 - 1알렉스(7')
362021-10-31안산 그리너스 2 - 3사무엘(71'), 서명원(89')


7.1.2. K리그2 준플레이오프 vs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 0:0 무)[편집]


파일:K리그2 로고.svg
2021 K리그2 준플레이오프
2021년 11월 3일 (수요일) 19:00 (UTC+9)
한밭종합운동장 (대전)
주심: 안재훈
관중: 1,982명[코로나19]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0 : 0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대전 하나 시티즌전남 드래곤즈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기록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원기종
90분동안 치열한 혈투를 이어간 두 팀이었지만, 승부는 쉽사리 나지 않으며 결국 0:0으로 90분이 마무리되었다. 고로 규정에 따라 정규리그에서 전남보다 더 높은 순위를 차지했던 대전이 플레이오프로 진출하여 안양을 상대하게 되었다.


7.2. 대한축구협회 FA컵[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2021 하나은행 FA CUP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2라운드2021-03-27대구 청솔 FC11 - 0김선우(2'), 박희성(14', 29', 55'), 김경민(20'), 알렉스(35', 47', 60'), 발로텔리(61'), 사무엘(77'), 김한길(88')
3라운드2021-04-14원정수원 FC1(4) - 1(5)박희성(16')
16강2021-05-26원정부산교통공사 축구단2(3) - 2(5)장성재(33'), 사무엘(83')
8강2021-08-18포항 스틸러스1 - 0사무엘(46')
4강2021-10-27원정울산 현대1 - 2이종호(21'), 장순혁(48')
결승2021-11-24대구 FC0 - 1-
2021-12-11원정대구 FC3 - 4박찬용(39'), 고태원(45'), 올렉(55'), 정재희(83')


7.2.1. 2라운드 VS 대구 청솔 FC (홈, 11:0 승)[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21 대한축구협회 FA컵 2라운드
2021년 3월 27일 (토요일) 16:00 (UTC+9)
광양축구전용구장 (광양)
주심: 이승호
관중: 0명[무관중]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11 : 0파일:대구청솔FC.png
전남 드래곤즈대구 청솔
2' 김선우
14', 29', 55' 박희성
20' 김경민
35', 47', 60' 알렉스
61' 발로텔리
77' 사무엘
88' 김한길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5부리그인 K5리그 대구/경북권역의 2020시즌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한 대구 청솔 FC를 상대하게 되었다. 청솔 FC가 부전승으로 1라운드를 건너뛰었기에, 다른 K5리그 팀들처럼 탈락의 부담 없이 프로팀 상대의 공식 경기를 치르는 영광과 꿈을 이룰 기회를 얻었다.

하지만 전남은 그 꿈의 마무리를 악몽으로 만들어놨다. 11골을 내리 득점하며 청솔 선수들의 혼을 빼놓았고, 작년 수원 FC광주 효창 FC를 상대한 경기의 재림이라 할만 했다. 하필 무슨 우연의 일치인지, 이런 대승 이후 3라운드에서 전남이 만나는 팀도 수원 FC다.


7.2.2. 3라운드 VS 수원 FC (원정, 1:1 무(승부차기 4:5 승))[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21 대한축구협회 FA컵 3라운드
2021년 4월 14일 (수요일) 19:00 (UTC+9)
수원종합운동장 (수원)
주심: 정동식
관중: 114명[코로나19]
파일:수원 FC 로고.svg
1 : 1
P.S.O
4 : 5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수원 FC전남 드래곤즈
53' 양동현(PK)파일:득점 아이콘.svg16' 박희성
중계방송사: 파일:KFA_TV.png / 캐스터: 이대현
경기 하이라이트

박희성의 헤딩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을 펼치며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7.2.3. 16강 VS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원정, 2:2 무(승부차기 3:5 승))[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21 대한축구협회 FA컵 16강
2021년 5월 26일 (수요일) 19:00 (UTC+9)
구덕운동장 (부산)
주심: 최규현, 부심: 윤재열/주현민, 대기심: 이혁재
관중: 215명[코로나19]
파일:부산교통공사 축구단 엠블럼.svg
2 : 2
P.S.O
3 : 5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부산교통공사전남 드래곤즈
56' 김민우
63' 곽성찬
파일:득점 아이콘.svg33' 장성재
83' 사무엘
중계방송사: iTOP21 Sports / 캐스터: 김지호, 해설: 백현기
경기 하이라이트

승부차기
부산교통공사 축구단3 : 5전남 드래곤즈
후축
(GK: 손재혁)
선축
(GK: 김다솔)
최용우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1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김선우
이강욱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2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황기욱
윤병권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3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사무엘
박재성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4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장성재
5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김경민
16강에서 만난 상대는 3라운드에서 K리그1광주 FC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올라온 K3리그부산교통공사 축구단으로 결정되었다. 양 팀은 프리시즌 연습경기에서 만나 2:2 무승부를 거둔 바 있다. 비록 2군급의 라인업을 내놓았다고는 하나 3부 팀에게 고전하며 승부차기까지 끌려갔고, 여기에서 가까쓰로 승리를 거두며 자이언트 킬링의 희생양이 되는 것을 피한채 8강 진출에 성공한다.


7.2.4. 8강 VS 포항 스틸러스 (홈, 1:0 승)[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21 대한축구협회 FA컵 8강
2021년 8월 11일 (수요일) 19:00 (UTC+9)
광양축구전용구장 (광양)
주심: 고형진
관중: 462명[코로나19]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1 : 0파일:포항 스틸러스 시안블루 엠블럼.svg
전남 드래곤즈포항 스틸러스
46' 사무엘파일:득점 아이콘.svg-
중계방송사: 파일:KFA_TV.png / 캐스터: 소준일, 해설: 이상윤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추가예정
대단히 오랜만에 펼쳐진 제철가 더비에서 대이변이 일어났다. 최근 송민규를 어이없이 보내고 타쉬 등 공격진의 부진이 있는 포항이었기에 2부라곤 하나 상위권에 위치한 전남과의 경기, 그것도 원정경기는 다소 부담스러웠는데, 결국 후반 시작 1분만에 최효진의 미친 오버래핑 후 터진 사무엘의 골이 경기의 행방을 결정지었다.


7.2.5. 4강 VS 울산 현대 (원정, 1:2 승)[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21 하나은행 FA컵 준결승
2021년 10월 27일 (수요일) 19:00 (UTC+9)
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
주심: 김희곤, 부심: 구은석/김지욱, 대기심: 조지음, VAR: 김종혁, AVAR: 최규현
관중: 2,010명[코로나19]
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1 : 2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울산 현대전남 드래곤즈
80' 바코 (PK)파일:득점 아이콘.svg22' 이종호
49' 장순혁
63' 홍철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중계방송사: 파일:skySports 로고.svg / 캐스터: 박종윤, 해설: 이주헌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추가예정
K리그1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와 1위 자리를 두고 치열한 다툼을 이어가는 울산 현대를 상대하게 되었다. 전남은 이미 정규리그 4위 자리를 확정지었기에 10월 31일의 정규리그 마지막 경기 결과가 어찌 되든 아무런 상관이 없어 최정예 전력으로 선발명단을 구성했고, 반면 울산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연장 2연전으로 체력적인 면에서 부담이 많아 다소 로테이션을 섞은 라인업을 내밀었다.

전반 22분 전남의 코너킥 상황에서 이종호가 친정팀에 비수를 꽂는 헤더를 작렬시키며 선제골을 성공시켰고, 간간히 나오는 울산의 슈팅 찬스는 키퍼 박준혁이 모조리 막아내며 선방쇼를 펼쳤다. 후반 시작 후 3분도 되지 않아서는 홍철이 위험지역에서 우물쭈물하며 클리어링을 하는 대신 굳이 상대가 압박을 준비하고 있던 신형민 쪽으로 패스를 내 주는 판단미스로 볼을 전남에게 내주었고, 이는 장순혁의 추가골이라는 치명적인 결과로 연결되었다.

상황이 급해진 울산은 오세훈까지 투입해 투톱 전술을 가동했음에도 이제 넣을건 다 넣었다는 마인드로 6-3-1 포메이션을 활용한 빗장 수비를 꺼내든 전남을 공략할수 없었고, 후반 25분에는 불투이스가 햄스트링에 고통을 호소하며 쓰러지며 분위기가 더 악화되었다. 김지현의 침투 후 만회골이 나오는가 했으나 이것마저 오프사이드로 취소되었고, 후반 35분에서야 바코가 PK로 울산의 만회골을 만들었다. 다행히 전남은 90분 종료를 알리는 휘슬이 울릴 때까지 점수의 우세를 지켜내는데 성공하며 무려 결승 무대에 진출하게 되었다.


7.2.6. 결승[편집]



7.2.6.1. 1차전 vs 대구 FC (홈, 0:1 패)[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21 하나은행 FA컵 결승 1차전
2021년 11월 24일 (수요일) 20:00 (UTC+9)
광양축구전용구장 (광양)
주심: 박병진, 부심: 김계용/강동호, 대기심: 김우성, VAR: 고형진, AVAR: 김용우
관중: 4,503명[코로나19]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
파일:대구 FC 엠블럼 블랙.svg
전남 드래곤즈대구 FC
0 1
-파일:득점 아이콘.svg25' 라마스 (PK)
24' 김태현
82' 발로텔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55' 이진용
중계방송사: 파일:skySports 로고.svg / 캐스터: 소준일, 해설: 이상윤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
양팀 모두 현재 가능한 상황에서 힘을 잔뜩 준 라인업을 꺼내들었고, 광양축구전용구장코로나19가 진행중인 상황 속에서도 오랜만에 매진되는 섹터가 생기는 등 많은 관중이 자리하며 분위기를 살렸다. 하지만 경기 내용은 홈팀으로썬 실망스러울만도 했는데, 전반 23분에 김태현세징야를 상대로 박스 안에서 저지른 무리한 태클이 공이 아니라 선수에 걸리면서 대구의 페널티킥이 선언, 이것을 라마스박준혁 골키퍼를 완벽히 속이며 선제골로 연결되었다.

이후 양 팀은 각각 교체선수를 2명, 1명밖에 사용하지 않는 등 가능한 한 지금 꺼내든 최상의 라인업에서 승부를 보려는 마음가짐을 이어갔으나, 에드가이종호 등 양 팀의 공격수들이 상대의 골문에 시도한 슈팅이 빈번히 최영은과 박준혁의 슈퍼세이브에 막혀가며 보는 사람들이 진땀을 흘리게 했다. 결국 더 이상의 득점은 나지 않은채 대구가 원정에서 치러진 1차전에서 0:1 승리를 가져가며 홈에서 진행될 2차전을 앞두고 유리한 위치를 챙겨간다.


7.2.6.2. 2차전 vs 대구 FC (원정, 3:4 승)[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21 하나은행 FA컵 결승 2차전
2021년 12월 11일 (토요일) 12:30
DGB대구은행파크 (대구)
주심: 김종혁
관중: 9,016명
파일:대구 FC 엠블럼.svg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대구 FC전남 드래곤즈
3 4
41' 세징야
51' 에드가
67' 츠바사
39' 박찬용
45' 고태원
55' 올렉
83' 정재희
24' 홍정운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75' 정호진
중계방송사: 파일:SBS 로고.svg / 캐스터: 이인권, 해설: 장지현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 정재희
경기 내용을 요약한 기사

전반 초반 분위기는 대구가 가져왔다. 대구는 강하게 전남을 압박하며 기회를 엿보면서 1부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듯 했지만 전반 24분 대구의 코너킥 찬스에서 홍정운이 팔꿈치로 황기욱을 가격하면서 퇴장, 경기는 미궁으로 빠지기 시작했다.[4]



그렇게 분위기는 급격하게 전남에게 넘어오게 되는 듯 했지만, 말 그대로 2분 천하로 끝나게 된다. 세징야가 트래핑 한 뒤 머리위로 띄우고 다이렉트로 터닝 발리슛을 때려 전남의 그물을 흔들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상의를 탈의해 옐로 카드를 받는다.

이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한 대구가 전남의 총공세를 틀어 막는 형국으로 흘러가고 있었으나, 추가시간 2분 최영은이 대형사고를 저지르고 만다. 장성재가 올린 코너킥이 니어 포스트 쪽으로 빨려들어가는 상황이었는데, 캐칭 하는 위치 선정을 골대 안에서 자리잡고, 심지어 제대로 캐칭조차 하지 못하면서 고태원의 역전 추가골이 터지게 된다. 결국 1:2로 전남이 리드 한 체 전반전 종료.

후반전이 시작 되면서 연달아 3번의 찬스가 전남으로 부터 나온다. 이종호의 헤더가 살짝 벗어나고, 박희성의 힐킥이 최영은의 정면으로 향하는 등 운이 따르지 않았고, 결국 51분 김재우가 라인을 벗어나는 높은 볼을 큰 키를 이용해 발로 크로스를 올리게 되었고, 에드가의 헤딩이 박준혁이 막을 수 없는 궤적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전남의 선제골이 세징야에 의해 2분천하가 된 것처럼, 이번엔 전남의 올렉이 5분 천하를 완성한다. 후반 9분 존 안으로 길게 넣은 볼을 정태욱이 헤딩으로 클리어링 했는데, 홍정운의 퇴장으로 공백이 생긴 중원에 날카롭게 달려들던 올렉이 논스톱 다이렉트, 최영은이 반응조차 할 수 없는 원더골을 꽂아넣게 된다. 이 직후 SBS 카메라에 담긴 원더골 > 세레머니 > 이병근의 탄식은 올해 최고의 앵글로 꼽는 사람도 있을 정도.

하지만 이번엔 전남쪽에서 대형사고가 터지고 만다. 후반 22분, 수비수의 머리를 맞고 공이 애매하게 떠오르자 박준혁이 뒷걸음질 치는데, 이때 중심을 잃고 쓰러지면서 간신히 쳐냈지만, 쇄도하던 츠바사가 무릎을 가져다 대고, 이 슛이 골대를 맞고 그대로 빨려들어가면서 대구가 다시 한번 리드를 가져간다.

거기다가 후반 30분, 정호진이 세징야와 경합 과정에서 불필요한 강한 백태클을 넣는 바람에 퇴장 당하며 10대10으로 균형이 맞춰진다. 그런데 후반 38분, 후반 교체투입된 발로텔리가 사이드에서 볼을잡고, 김재우를 벗겨내면서 중앙에 위치한 사무엘을 향해 찔러줬고, 사무엘은 수비수를 몸으로 마킹 하며 가볍게 밀어 준 볼을 정재희가 왼발로 꽂아넣으며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승기를 가져오게 된다.

이후 전남의 골문을 열기 위해 계속해서 공격을 반복하나, 아까 대형 사고를 쳤던 박준혁이 이번엔 역동작 상태에서 볼을 낚아채는 좋은 세이브를 보여준다.

그 와중 후반 48분, 에드가가 고태원과 경합 과정에서 넘어지면서 PK가 선언되지만, 온필드 리뷰 결과 김종혁이 원심을 번복하게 되고, 이후 대구의 빌드업 시도가 두어번 저지 당하자 휘슬이 울리며, 전남이 우승을 차지한다.

전남은 이번 우승으로 통산 4회의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부리그 팀으로서 한국 축구 역사상 최초의 FA컵 우승을 기록했다. 이제 전남은 14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22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게 되는데, 이는 아시아 2부리그 팀으로써는 최초이다[6].


8. 시즌 평가[편집]


2021 하나은행 FA컵 우승
파일:fdb52537b7201570aa179bd6992d76b4.jpg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검정노랑(2021).svg
전남 드래곤즈
(4번째 우승)

파일:f177b21eda16063bbce59e009395e0de.jpg
FA컵 2차전 종료 후 전경준 감독에게 큰절을 올리는 전남 팬들
리그에서 4위를 기록하고 승격 준플레이오프에 참가했으나 첫 경기부터 대전 하나 시티즌에 발이 잡혀 22시즌에도 평소같이 2부리그에서 뛰어야 했던 전남이었으나, FA컵에서 1차전의 1점차 열세를 2차전에서 3:4 대역전승으로 뒤집으며 2부리그팀 최초 FA컵 우승아시아 2부리그팀 최초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이라는 기록적인 성과를 잡으며 유종의 미를 확실히 챙긴 한 해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22:16:14에 나무위키 전남 드래곤즈/2021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합산성적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2] 다만, 팀 내 최다 득점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3] 다만, 팀 내 최다 도움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코로나19] A B C D E F [무관중] 코로나19로 인한 무관중 경기[4] 이 퇴장은 경기 종료 후 이병근 감독이 직접 패인중 하나가 되었다고 평가 했다.#[5] 이럴 수 있었던 이유는 FC 도쿄가 2011 시즌 J2리그 우승 팀이기도 했기 때문이다.[6] FC 도쿄가 J2리그 시절인 2011 시즌 천황배 우승팀 자격을 획득해 J2리그에서 J1리그로 승격한[5] 2012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에 참여한 적이 있고, 도쿄 베르디가 2부리그 소속인 상태로 ACL에 참가해봤긴 하나 J2 강등 전 시즌에 참가자격을 J1에서 따고 강등당한 것이기에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자격을 얻어낸 시즌과 참가한 시즌 모두 2부리그 소속인 팀은 전남이 최초이다.